top of page

 NEWS  



몸은 물질적이며 그로 인해 필연적으로 환경에 구속된다. 몸은 식(食)이나 성(性), 배설 등

과 같은 원초적인 욕망으로부터도 자유로울수 없으며, 그렇기에 그 자체로 속(俗)되다.

예로부터 많은 구도자가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자신 안에 내재해있는 욕망으로부터 해방

되기 위해 몸의 수행에 정진했던 것은 이 때문이다. 그리고 현대의 구도자인 몸의 예술가

들 역시 그러하다.극단 사다리움직임연구소(이하 극단 사다리)는 한국 연극계에서 몸에 대한 무대미학적 탐구가 한창 고조되고 있었던 1998년에 창단되었다. 그리고 2000년에 초연된 피지컬 시어터〈 보이첵〉은 파격적인 연출로 극단의 지향점을 명확히 보여주면서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다. 이후 극단 사다리는 그 탐구를 지속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우리 연극계

안에서 희소하고 독보적인 존재이다. 2018년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서 초연된 이후 대표적

인 레퍼토리 중 하나가 된〈 한여름밤의 꿈〉(임도완 각색·연출, 6.2~12, 대학로예술극장 대

극장) 역시 이같은 극단 사다리만의 색깔을확실하게 보여준다.


육화된 언어와 문화 번안〈한여름밤의 꿈〉은〈 굴레방다리의 소극〉처럼 한국적으로 번안되었을 뿐만 아니라 극단 사다리의 고유한 미학으로 완전히 육화(肉化)되었다. 원작의 배경인 ‘아테네 및 그 근교의숲’은 ‘고구려, 비류국’으로 옮겨졌다. 그리고 이로 인해 아테네의 공작인 디슈스와 아마존의 여왕 히폴리터는 각각 고구려의 왕족인고추가(古鄒加)와 우씨로, 요정의 왕인 오버론과 요정의 여왕인 타이테니아는 각각 금강역사(金剛力士)와 마고(麻姑) 여왕으로 재탄생되었다. 금강역사는 불법(佛法)을 수호하며, 일반적으로 사찰의 입구에 서있는 수문장으로잘 알려진 신이며, 마고는 우리의 신화에서 창세신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여신이다.

공간의 번안은 그곳에 속해있는 등장인물들뿐만 아니라 그들이 살아가는 방식인 문화의

번안을 필연적으로 동반하며, 무대와 의상은 이를 시각화한다. 하지만〈 한여름밤의 꿈〉의

무대는 기본적으로 빈 무대로, 장면에 따라다르게 조합되는 긴 나무 의자들의 가변적인

구조물을 무대 중앙에 배치했다. 그리고 구조물의 위와 아래에서 배우들은 수평적으로, 수

직적으로, 때로는 대각선적으로, 다양하게 끊임없이 움직여나갔다. 특히 집사관 역의 임

채현 배우는 중력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수직이동으로 관객의 탄성을 자아냈다.


월간 한국연극 7월호’에 실린 우수진 평론가님의 <한여름밤의 꿈> 리뷰 입니다.

조회수 98회댓글 0개

최종 수정일: 2022년 7월 9일


가면극과 마당놀이라는 우리 전통연희 양식을 셰익스피어 희극에 적극 들여온 점이 눈에 띈다. 원작에 등장하는 요정의 숲은 도깨비들의 숲으로 탈바꿈했다. 여기에 전통적인 봉산 탈을 이탈리아 가면극인 코메디아 델라르테 풍의 반가면(半假面) 형식으로 재해석해 개성 있는 캐릭터들을 만들어냈다. 툇마루를 이용한 무대 공간을 배우들이 자유자재로 뛰어다니게 만듦으로써 프로시니엄 무대가 아니라 마당놀이가 펼쳐지는 멍석마당 같은 느낌을 선사한다. 가면과 무대보다 더 강력하게 관객의 웃음을 빚어내는 포인트는 배우들이 사용하는 구수한 언어다. 이들은 원작인 셰익스피어의 <한여름밤의 꿈>을 비류국의 네 남녀 미아, 두만, 혜령, 라업과 동양의 수호신인 금강역사 부부의 이야기로 바꿨다. 원작의 허미아를 미아로, 드미트리우스를 두만으로, 헬레나를 혜령으로, 라이샌더를 라업으로 바꾼 것만 봐도 어감을 살리면서 원작의 언어를 우리말로 치환하려 이들이 얼마나 많은 고민과 노력을 기울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주간경향 1480호

김주연 연극평론가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6&artid=202205271352021

조회수 2회댓글 0개

최종 수정일: 2022년 7월 9일


셰익스피어 작품을 원작으로 한 '한여름밤의 꿈'은 우리나라 중요무형문화제 제17호인 '봉산탈춤'과 이탈리아의 '코메디아 델라르테'를 토대로 비교·연구해 동시대의 창의적인 반가면극으로 완성시켰다.

시대적 배경을 고구려 비류국으로 각색해 한국적인 색깔과 말투로 변형했다. 무대는 마당과 멍석의 공간에서 이뤄진다. 그동안 프로시니엄 무대에서만 만날 수 있었던 셰익스피어 작품이 열린 무대에서 관객과 소통하며 연희 같은 형식으로 펼쳐진다.

1998년 결성된 극단 사다리움직임연구소는 역동적인 신체 움직임을 연구하고 훈련했으며, 이를 무대 위에서 독창적인 언어로 표현해왔다. 대표작으로는 '보이첵', '굴레방다리의 소극', '휴먼코메디', '왕벚나무동산' 등이 있다.


뉴데일리

신성아 기자 mistery37@hanmail.net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2/05/16/2022051600018.html

조회수 18회댓글 0개
bottom of page